오늘은 장이 단타를 하기에는 그리 나쁘지 않아서 오전에 이리저리 매매하다가 독서도 좀 하고 오후에는 매매를 안 하려고 했는데, 그때 눈에 들어오던 종목이 있었습니다.
바로, 얼마 전 신라젠과 함께 거래정지에서 풀린 그 종목 인보사 사태로 유명한 코오롱티슈진이었습니다.
코오롱티슈진을 매매한 이유
코오롱티슈진을 매매한 이유는 "낙폭과대" 때문입니다.
매매 의사결정 과정을 보기에 앞서 필요한 배경지식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코오롱티슈진의 거래 재개는 신라젠의 거래재개 수혜를 입었습니다.
이 말이 무슨 말이냐면, 신라젠의 경우 오랜 기간 거래정지되었기 때문에 거래 재개 당일 팔고자 하는 사람이 너무 많아 거래 정지 전 가격이었던 12,100원에서 대략 30% 할인된 8,380원으로 시초가가 결정되었습니다. 잠깐 토막 증시 상식을 말씀드리자면, 거래 정지 후 재개시에도 신규 상장과 마찬가지로 기준 가격에서 -50%~100% 사이에서 시초가가 결정됩니다. -30%로 시작했다는 건 팔고자하는 사람이 많았다는 뜻이겠지요.
아무튼 그런 이후 엄청난 매수세에 의해 상장 당일 상한가, 그다음 날도 상한가 그리고 그 다음날 고점에서 장대음봉을 그리면서 상승이 멈췄습니다.
거래 재개 후 신라젠이 엄청난 상승세를 보여줬기 때문에 코오롱티슈진의 거래 재개에도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기대감 형성)
기존에 가지고 있던 사람도 "시초가에 던지는 건 바보 같은 거야."(매도세 없음)는 심리가 생겼을 것이고, 거래 재개 후 신규 매매를 노리던 사람도 "상한가는 가겠지."(대기 매수세 많음)라는 심리가 있어 기준가 대비 100%라는 높은 시초가를 만들어낸 것입니다. 그리고 상한가 직행.
그러나 상승 정도를 보면 이미 재개 당일에 130%가 올랐기 때문에 다음 날까지 상한가를 만들어 내기엔 시장 유동성이 부족했습니다. 코오롱티슈진의 시총도 너무 컸던 것도 한몫했을 것입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고점을 찍고 3일 연속 하락한 코오롱티슈진이 제 레이더에 걸린 겁니다.
코오롱티슈진 16,000원 가격대가 중요했던 이유
그렇다면 왜 16,000원에 매매를 진행했을까요?
바로 거래 재개 당일 시초가였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고점 대비 과도한 낙폭(재개 당일 상승분 모두 반납) 이 두 가지 이유로 저는 매매를 결정했습니다.
솔직히 말씀드리면 16,000원 가격대에서 횡보를 하고 있어서 "17,000원까지는 무난히 상승하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이 있었는데, 개미는 개미인가요? 제가 사자마자 갑자기 하락 VI.
그 이후 15,000원 선까지 깨면서 수직 하락. 당황은 했지만 그래도 침착하게 횡보로 자리 잡는 걸 보고, 상승 전환을 생각하고 1차 물타기를 진행했습니다. 솔직히 더 이상 물을 타면 종목당 비중이 너무 커져서 힘들어 질거라 보고 여기서 물탄 후 15,000원 자리를 재차 이탈한다면 손절해야겠다 마음먹었습니다. 그래도 다행히 반등이 나와줘서 약 익절(0.07%)로 마감할 수 있었는데, 오늘은 매매하면서 친구에게 실황을 카톡 한 게 있어 매매 당시의 제 심리를 느껴보시라고 같이 올려드립니다.
(친구와의 대화라 다소 격식이 없는 점은 너른 양해 부탁드립니다.)
결론
위 카톡 내용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소액으로 진입해도 항상 매매는 살 떨립니다. 소액으로 진입해도 자칫 잘못 물을 타게 될 경우 비중이 나도 모르게 커지는 경우도 있고, 물 탄 자리에서 더 빠질 경우 손실은 눈덩이처럼 커지기 때문입니다. 그래도 대응 가능한 수준으로 진입하고 정확하게 지지 저항을 확인해서 트레이딩 하면 이런 매매도 가능할 수 있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사실 저도 이런 매매를 좋아하진 않지만, 이런 매매를 경험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해서 종목이 보이는 대로 매매해보는 편입니다.
'주식 기록 > 매매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절 원칙 보성파워텍 매수 매도 (0) | 2022.10.26 |
---|---|
신규 상장 2일차 핀텔 단타 매매 2탄 (0) | 2022.10.21 |
신규상장주 매매타점 분석 핀텔 (0) | 2022.10.20 |
단타매매 자리 다시보기 리튬 관련주 강원에너지 (0) | 2022.10.13 |
신규 상장 AI반도체 IP 기업 오픈엣지테크놀로지 (0) | 2022.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