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기록/시장이슈

위드 코로나 중단을 대비해야할 때 - 음압병동 관련주 체크

반응형

11월 들어 위드 코로나가 시작되면서, 확진자가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중증 환자 비율도 증가하면서, 병상이 부족해지고 있습니다. 우리보다 빨리 위드 코로나를 시작했던 유럽의 상황을 보면, 확진자 증가에 따라 통행금지를 부활시키는 등 셧다운의 초입에 들어섰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백신 접종률이 높긴 하지만, 위드 코로나가 시작함에 따라 확진자가 빠르게 늘어 일 확진자 수가 3000명대가 넘어섰으며, 위중증 환자의 수도 500명 대에 육박하고 있습니다.

 

위드 코로나 서킷 브레이커 발동 가능성

현재로선 지속적으로 수도권 병상 부족 문제가 이슈가 되고 있기 때문에 이런 추세가 지속된다면 빠르면 이달 말, 늦어도 다음 달 초중순쯤엔 우리나라도 다시 셧다운 될 가능성이 크다는 생각이 듭니다. 확진자 수의 증가는 일 확진자 수가 만명이 넘어가지 않는 이상 시장에서 크게 이슈가 될 가능성은 높지 않지만, 위중증 환자의 증가, 이에 따른 병상 부족 문제는 반드시 이슈가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음압 병동 관련주

멕아이씨에스

코로나19 사태 초기에 가장 큰 폭으로 주가가 상승한 종목입니다. 코로나에 감염되면 가장 문제가 되는 게 폐질환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엄밀히 말해서 음압 병동 관련주는 아니지만, 해당 종목이 인공호흡기 관련주로 분류되는 만큼, 다시 재차 상승 가능성이 높아 보여 체크해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우정바이오

음압 병동 테마의 실질적인 대장주였던 종목입니다. 양압 및 음압으로 조립 가능한 맞춤 조립식 격리 병실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한 때 14,800원까지 상승하였으나, 지금은 6000원대에 머무르고 있습니다.

 

원방테크/GH신소재/엔브이에이치코리아

2021.07.08 - [주식/종목연구] - 장기적 관점에서 바라봐야 할 종목 - 원방테크

 

장기적 관점에서 바라봐야 할 종목 - 원방테크

오늘은 오랜만에 하락장을 맞이하여, 장기적 관점에서 주가가 떨어질수록 좋은(싸게 살 수 있으니까) 종목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바로 상장한 지 얼마 안 된 클린룸 설비 업체 원방테크이다.

gonig-up-stock.tistory.com

이 세 종목의 관계에 대해선 위의 글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애초에, GH신소재나 엔브이에이치코리아가 음압 관련주로 분류된 것은 모두 원방테크 때문입니다. 그 전에는 원방테크가 상장하기 전이었기 때문에 관계 회사가 부각되는 모습이었습니다만, 실질적인 사업을 하는 회사가 상장을 했으니 당연히 원방테크가 부각이 되어야 하는데, 그렇게 많이 부각되지는 않았습니다. 작년 말쯤에 1인용 음압병실을 개발하여 시장에 내놓은 바 있습니다.

최근에 있었던 대규모의 상승은 음압 병동이 아닌 무상증자 이슈로 인한 급등이었으니 투자에 참고 바랍니다.

 

오텍

쿠팡카로 유명한 오텍입니다. 주로 물류 차량을 제작하는 회사인데, 음압 엠뷸런스를 공급하기 시작하면서 관련주로 부각되었고, 이동형 음압 병동도 출시한 바 있습니다.

 

에스와이

역시 쿠팡 물류센터 관련주로 부각되는 종목인데, 이동식 모듈러 음압 병동을 출시하며 음압 관련주로 부각되었습니다.

 

위에 언급된 종목 외에도 신성이엔지, 윈하이텍 등 다른 종목도 있습니다.

 

관련주 분석

시가총액의 측면에서 본다면 제일 가벼운 종목은 우정바이오입니다. 다른 종목들이 1000억대 중후반 혹은 2000억대인 것에 비해 우정바이오는 700억대 수준이라 가장 가볍습니다.

 

주가 상승의 측면을 본다면 가장 경쟁력이 있어 보이는 건 역시 멕아이씨에스입니다. 완전한 음압 병동 관련주는 아니지만, 중증 환자를 케어한다는 넓은 측면에서 관련주로 볼 수 있고, 무엇보다 테마주 장세에서는 강했던 종목이 다시 강해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큰 상승을 기대해볼 수도 있습니다.

 

음압 병동 이슈뿐만 아니라 중장기적인 시각에서 본다면 원방테크도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거래량이 다소 아쉬운 종목이긴 하지만, 이 회사의 주력인 클린룸이 성장성이 높고, 배당 여력도 상당하기 때문에 중장기적인 관점에서는 가장 베스트일 것 같습니다.

 

반응형